All Issue

2019 Vol.7,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September 2019. pp. 117-133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 침구 브랜드 패턴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총 4개 브랜드 200개의 이미지를 해당 브랜드 웹사이트에서 수집하여 패턴디자인 모티브, 표현 방법, 패턴의 배치방법의 특성을 분석했다. 패턴디자인 모티브로는 꽃문양이 가장 잦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뒤를 이어 식물 및 자연문, 각종 전통 문양과 스트라이프, 체크 패턴이 즐겨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턴의 표현방식으로는 양식적 표현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어서 사실적 표현방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패턴의 배치 방법으로는 올오버 레이아웃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보더 패턴 레이아웃과, 단독 레이아웃도 특정 브랜드에서 잦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국내 침구브랜드 경향과 비교해볼 때 꽃과 식물문양 및 사실적 묘사 방법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점이 일본 침구 디자인의 특징점인 점으로 분석되어 향후 국내 침구 브랜드가 일본에 진출할 경우 이와 같은 점을 전략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edding brand pattern. To this end, a total of 200 images of four brands were collected from the relevant brand websit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design motifs, expressive methods and layout methods. Pattern design motifs showed that flower patterns were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plants and natural doors, various traditional patterns, stripes and check patterns. As for the expression of patterns, stylistic expressions were used the most, followed by factual expressions. The all-over layout was overwhelmingly used as a method of placing patterns, and the board pattern layout and solo layout were also frequently used in certain brands. Compared with the trend of Korean bedding brands, the high preference for flower and plant patterns and realistic depiction methods was analyz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Japanese bedding designs, indicating the need to strategically reflect such features if Korean bedding brands enter Japan in the future.
References
  1.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09/555060/
  2.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7102944151
  3. http://m.tinnews.co.kr/12810
  4. https://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22421
  5. https://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71815573307223
  6.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2/86433/
  7. https://gyokai-search.com/3-net.htm
  8. 노신영 “텍스타일 CAD System의 실용화에 관한 연구-침구류 텍스타일 프린트를 중심으로-”, 대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1-55, 2002.
  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8367&cid=40942&categoryId=32157
  10. 박희란 “전통 매듭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1-146, 2015
  11. 엄경희, 최유미 “조선시대 조각보문양을 활용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2호, pp. 345- 357, 2011.
  12. 오석란, 장민정 “조각보와 한글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침장작품을 중심으로”, 성신여자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1-157, 2015.
  13. 한연주 “전통문양을 활용한 호텔 객실의 침구 디자인 연구 –떡살문양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1-129, 2017.
  14. 홍세진 “한국 전통 창살 문양을 이용한 침구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91, 2014.
  15. 박선애, 김선화 “실버세대를 위한 천연염색 침구디자인 개발”, 한국과학예술포럼, 18, pp. 273-279 , 2014.
  16. 엄경희, 최유미 “아티젠을 위한 홈 인테리어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 앙리 마티스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8권 3호, pp. 309-320, 2012.
  17. 이수철 “명품 침장류의 최근 동향 분석 : 글로벌 마켓의 색상, 패턴모티브,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4권1호, pp. 258-265, 2008.
  18. 이수철, 서지민 “한국 전통침구의 현대화된 제품디자인 사례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4권 3호, pp. 367-377, 2008.
  19. 박혜신, 김지인 “한국과 중국의 침구 디자인 특성 연구 -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제19권 5호, pp. 315-337, 2018.
  20. 유희은, 김면 “침구류 패턴디자인 가이드를 위한 기초연구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32권 32호, pp. 269-281, 2014.10.17246/jkdk.2014..32.025
  21. 박상오, 강은하 “국내 침구제품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 텍스타일디자인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4호, pp.189-202, 2015.
  22. 박상오, 박희란 “국내 침구브랜드제품 디자인의 자연주의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2호, pp. 172-180 , 2011.
  23. 임선양 “원유닛을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전개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4호, pp. 581-590, 2014.
  24. 구희경, 김희선, “텍스타일 패턴 유형에 따른 세대 간 감성이미지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제2권 2호, pp. 155-171, 2000.
  25. J Wilson “ Handbook of textile design”, Woodhead Publishing Ltd and CRC Press LLC, pp. 1-152, 2001.
  26. 노은희, 류옥희 “기초조형 교육에서 패턴디자인 전개과정 연구”, Archive of Design Research, 제5호, pp. 18-19, 2000.
  27. 정현미 “텍스타일 캐드에 의한 플라워 패턴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호, pp. 518-527, 2000.
  28. 이정림 “3차원 기하형태를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1-78, 2000.
  29. 나경주, 권오경 “여성복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감성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 2권 3호, pp. 198-204, 2000.
  30. 최옥수, “20세기 초 패션에 나타난 직물문양의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pp. 1-177. 2005
  31. 권해진, 김수정 “레트로에 나타난 시대적 표현 연구- 패턴 디자인의 모티브와 구조화 방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 연구, 제13권 4호, pp. 1-14, 2012
  32. 이은옥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의 분류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3권 3호, pp. 271-280, 2007.
  33. 전지은 ‧ 박영미 “한국 전통문양의 Surface Pattern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패션비즈니스, 제 15권 5호, pp. 115-128, 2011.
  34. 김기령 “한국적모티브를 활용한 에스닉 직물 디자인 연구-수직기법에 의한 가방 직물 디자인을 중심으로 ”,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1-84, 2008.
  35. 이은옥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의 분류 유형에 관한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3권 3호, p. 278, 2007.
  36. https://www.nitori.co.jp/about_us/corporate_data.html
  37. https://www.nishikawasangyo.co.jp/brands/
  38. https://rady.jp/
  39. http://www.francfranc.com/shop/?pc_header_h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7
  • No :3
  • Pages :117-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