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9,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June 2021. pp. 169-179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 체력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 유아 체력 관련 연구의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까지 발표된 영유아 체력과 관련된 논문 226편을 연구 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 결과의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유아 체력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석사학위논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주제별로 분석하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으로 발달 ‧ 측정과 평가, 변인 관계, 도구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 체력 관련 연구의 연구 방법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연구유형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 내용은 체력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체력 관련 연구는 대부분 2000년대 이후부터 이루어졌으며 체력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졌음을 볼 때 영유아 체력 관련 연구가 다양한 영역과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on physical fitness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topic. To this end, 226 papers related to young children fitness that had been published by December 2020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time periods, topics, methods, an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ies on early childhood fitness were published the most in the 2010s. Additionally, the trends that were studied the most in this area wer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fitness programs, followed by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 analysis of variable relationships, and tool development; additionally, most of the programs were perform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infant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performed was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oreover, in the trends analyzed in the study, the most effective verification methods in early childhood fitnes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most studies on early childhood fitness were conducted from the 2000s onwards, and that the studie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itness program and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s to expand it into different areas and determine more varied research methods.
References
  1. 한국유아체육학회, "유아체육론", 서울: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15.
  2. J. Twisk, H. Kemper, and W. Van Mechelen, "Tracking of Activity and Fit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32, No. 8, pp. 1455-1461, 2000.https://doi.org/10.1097/00005768-200008000-00014PMid:10949012
  3. P. L. Kristensen, N. Wedderkopp, N. C. Møller, L. B. Andersen, C. N. Bai, and K. Froberg, "Tracking and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cross Socio-Economic Classes: A Longitudinal Substudy of the European Youth Heart Study", BMC Public Health, Vol. 6, pp. 1-20, 2006.https://doi.org/10.1186/1471-2458-6-20PMid:16441892 PMCid:PMC1403767
  4. 이순례, 김미경, 한미양, "유아의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동작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유아체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7-23, 2010.
  5. 김은정, "유아체력에 대한 다변량적 접근 :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9권 제5호, pp.1293-1302, 2020.https://doi.org/10.35159/kjss.2020.10.29.5.1293
  6. 교육부, 보건복지부,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2019.
  7. 이효진, 김명순,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놀이 유형과 신체활동수준 및 유아의 기본운동기술 간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237-258, 2019.https://doi.org/10.20437/KOAECE24-2-10
  8. 변지혜, 김은주, 이여옥, "유아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부산 지역 만 3-5세 유아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017-1026, 2014.
  9. 손원호, "대도시 유아교육 기관에 입학한 유아들의 체력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체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73-80, 2002.
  10. 맹관호, "한국과 일본유아의 체격, 체력에 관한 비교연구", 서울산업대학교논문집, 제19권 제1호, pp.347-350, 1983.
  11. 강진, "신체 및 표현 활동 중심의 실외놀이가 유아의 자기효능감, 기초체력,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3.
  12. 강동일, "유아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9.
  13. 김주한, 황해익, "유아체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전통놀이 선정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5권 제2호, pp.191-213, 2006.
  14. 박형섭, 안을섭, "유아의 비만도가 체력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체육학회지, 제7권, pp.129-144, 2006.
  15. 민경선, 손기수, 배기열, "부모의 체력관련요인과 자녀에 대한 관심도가 유아의 체격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pp.256-264, 1997.
  16. 최문형, "유아 기본적 움직임기술 측정(CFMS)의 타당성검증",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1호, pp.103-114, 2009.
  17. 박영선, 강경아, "남자유아교사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 제25권 제5호, pp.73-94, 2020.https://doi.org/10.20437/KOAECE25-5-03
  18. 백경순, "이야기나누기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7권 제4호, pp.231-247, 2018.https://doi.org/10.21183/kjcm.2018.12.17.4.231
  19. J. Best, and J. V. Kahn, "Research in Education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89.
  20. 김상림, 안효진, 이시자, "국내 숲유치원 관련 논문의 동향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1호, pp.87-113, 2014.
  21. 유수경, 황해익,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pp.293-314, 2009.
  22.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6.
  23. 이광노, "유아의 기초운동능력 발달을 위한 전래놀이 프로그램 개발",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6.
  24. 황성원, 사영숙, "기본운동능력 중심의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건강생활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pp.173-190, 2005.
  25. 진행미, 고영주, "유아의 기질과 기초체력과의 관계", 한국유아체육학회지, 제9권 제2호, pp.35-47, 2008.
  26. 정현채, 한명우, "유아기 아동의 체력증진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595-606, 2003.https://doi.org/10.51979/KSSLS.2003.11.20.595
  27. 김윤오, "유아기의 운동에 의한 체격 발달이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2.
  28. 정민아, "유아의 체육프로그램 적용이 체격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이미경, "유아의 신체활동역량과 놀이성, 또래유능성 및 학습행동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9.
  30. 김솔미, "생태유아교육기관과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의 체격, 체력 및 투약현황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0.
  31. 손원호, "대도시 유아교육 기관에 입학한 유아들의 체력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체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73-80, 2002.
  32. 이광노, 조현철, "한국과 중국 유아 6세의 체격과 체력 및 기초운동기술 성취율 비교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29-36, 2020.https://doi.org/10.34284/KJGD.2020.02.28.1.29
  33. 이종훈, 남기정, 이용식, "7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체력 및 체력의 비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1권 제6호, pp.1501-1508, 2012.
  34. 김은정, 원유미, "한국 유아의 체력실태조사",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53-264, 2020.
  35. 문지연, 한재현, 장우혁, 이의철, "Kinect 센서를 통한 유아 체력 자동 측정 방법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7권 제2호, pp.525-532, 2017.
  36. 최문형, "가족 간 신체활동의 관계가 유아자녀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9권 제3호, pp.71-80, 2010.
  37. 정진, "유아의 체력육성을 위한 신체훈련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82.
  38. 안을섭, "유아의 체력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5.
  39. 한연오, "유아 신체활동역량 평가지료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7.
  40. 박귀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비만유아들의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7.
  41. 유정애, 진연경, "유아체육교육의 연구동향 분석과 향후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7호, pp.965-990, 2019.
  42. 이혜수, 윤은선, 강성기, 박수현, "국민체력 100 유아기 체력측정 항목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59권 제5호, pp.401-412, 2020.https://doi.org/10.23949/kjpe.2020.9.59.5.29
  43. 최중근, 황해익, "유아용 체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영유아보육연구, 제8집, pp.159-178, 2002.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9
  • No :2
  • Pages :169-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