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7,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June 2019. pp. 33-42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소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보건소 구성원(의무직, 행정직, 간호직, 의료기술직, 보건직, 기타-위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48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적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적몰입과 지속적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용형태(정규직/기타직)별로 직무만족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의 직무만족이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 commitment of health center members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members(medical job, administrative job, nursing job, medical technology job, health job, and consignment of a health center in Gyeonggido) to use 481 collected copie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ompensatory satisfaction level was, the bigger positive(+) effect it had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Second, as for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 commitment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the higher the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level was, the bigger positive(+) effect it had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Third,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and the employment pattern(full-time position/the other jobs), the full-time pos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in the influence of the job satisfaction on the public service motive.
References
  1. 권동연, 안재선 “보건소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0권 제3호, pp. 544-555, 2016.
  2. 권오웅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연구 : 의료경영전공자와 비전공자와의 비교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기용 “리더십 유형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찰서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 김상묵 “한국인의 공공봉사동기: 세계적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 서울: 집문당, 2013.
  5. 김종인, 이현숙 “보건소장의 직무분석요인과 보건사업과의 연관성”. 보건과 복지, 제13권, pp. 9-16, 2011.
  6. 박경환,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와 일자리선택 자발성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차이 분석”, 경영교육연구, 제31권, pp. 311-335, 2016.
  7. 배병돌, “공공부문 성과급의 성공적 운영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7권 제1호, pp. 181-201, 2003.
  8.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통계분석방법”, 21 세기사, 2010.
  9. 양미진, “서울시 각 구 보건소 간호사의 방문간호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0. 양창삼. “조직이론”, 서울: 박영사, 1997.
  11. 오성호. “지방공무원의 성과급제 실시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행정연구, 제12권 제4호, pp. 219-247, 2003.
  12. 이강문, 노태우. “공공기관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인지된 직무성과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 360-375, 2017.
  13. 이사빈, 이수영. “공직봉사동기와보수만족도가경찰직무만족도에미치는영향, 경찰조직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3권 제3호, pp. 23-55, 2014.
  14. 이상준, 김창엽, 김용익, 신영수. “도시보건소 공무원의 조직몰입도 인과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제8권 제1호, pp. 52-96, 1998.
  15. 이아름, 박진경, 김경란, 이도영. “보건소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5권, pp. 171-183, 2015.
  16. 이희태. “공무원 성과급제도의 동기부여 효과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1호, pp. 159-180, 2010.
  17. 임양현. “장기근속 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직무만족요인”. 보건과 복지, 제7권, pp. 103-121, 2004.
  18. 전대성.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조직 내 저성과자의 비율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 제24권 제3호, pp. 177-197, 2015.
  19. 정연앙, 최장호. “성과급 임금제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제32권 제3호, pp. 69-94, 2008.
  20. 조태준, 윤수재. “공공서비스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제18권 제1호, pp. 223-252, 2009.
  21. Coursey, D. H., Pandey, S. K. “Public service motivation measurement: Testing an abridged version of Perry's proposed scale” Administration & Society, Vol 39 No 5, pp. 547-568, 2007.10.1177/0095399707303634
  22. Deckop, J. R., Cirka, C. C. “The risk and reward of a double-edgedsword: Effects of a merit payprogram on intrinsic motivation”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Vol 29 No 3, pp 400-418, 2000.10.1177/0899764000293003
  23. Eberhardt, B. J., A. B. Shani. “The Effects of full-time versus part-time employment status on attitudes toward specific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7 No 4 pp 893-900, 1984.10.2307/25588710269282
  24. Kim, S. “Gender differences i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employees: a stud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Sex roles, Vol 52 No 9-10, pp 667-681, 2005.10.1007/s11199-005-3734-6
  25. Locke, E. 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pp 1297-1349, 1976.
  26. Perry, J. L. “Measur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An assessment of construct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6 No 1, pp 5-22, 1996.10.1093/oxfordjournals.jpart.a024303
  27. Rainey, H. G., Steinbauer, P. “Galloping elephants: Developing elements of a theory of effective government organization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 9 No 1, pp 1-32, 1999.10.1093/oxfordjournals.jpart.a024401
  28. Robertson, P. J., Tang, S. Y. “The role of commitment in collective action: Comparing th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rational choice perspectiv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pp 67-80, 1995.10.2307/976829
  29. Wright, Bradley E., Sanjay K. Pandey.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Assumption of Person-Organization Fit: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Administration & Society, Vol 40 No 5, pp 502-521, 2008.10.1177/0095399708320187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7
  • No :2
  • Pages :3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