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7,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September 2019. pp. 47-56
Abstract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만성퇴행성 질환을 경험하는 노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간병/수발을 제공하는 장기요양에 대한 욕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은 커뮤니티 케어나 요양시설 케어 중에 선택하게 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은 커뮤니티 케어를 이용하기 원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전국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이 미혼자녀와 동거할 때(β=.264), 집을 소유할 때(β=.252), 사회 ‧ 여가 ‧ 문화활동 만족도가 높을 때(β=.032), 수단적 일상생활수행기능이 어려울 때(β=.055), 연령이 높을 때(β=.008), 커뮤니티 케어 이용의사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1년간 자녀와의 갈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β=-.247), 사회활동참여도가 높은 경우(β=-.184), 동부 즉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경우(β=-.101), 커뮤니티 케어 이용의사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케어를 이용하겠다는 노인들의 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장기요양 관련 커뮤니티 케어 추진 로드맵을 마련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lderly persons’ decision to use community care when they become physically impaired.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7 Elderly Profile Survey. The analysis sample was 10,299 cases. Older persons’ choice to use community care was operationalized as follows: in frailty, I going to use home-based long-term care services. Over one half of the respondents(56.4 percent) replied to choose community car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when older person coresided with unmarried adult child(β=.264), owned home(β=.252), IADL score(β=.055), social ‧ leisure ‧ culture activity satisfaction(β=.032), age(β=.008), having conflict with adult child(β=-.247),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β=-.184), residential area(β=-.101) were indicators of predicting older persons’ choice of using community care. In designing community long-term care system, these characteristics of older persons should be reflected to improve effectiveness, solving unmet needs of elderly persons those who wanted to stay in the community until death.
References
  1.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8.
  2. G. L. Maddox, R. C. Atchley, J.G. Evans, C. E. Finch, D. F. Hultsch, D. F. Kane, R. A. Mezey, and I. C. Siegler. “The Encyclopedia of Aging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1995.
  3. J. Meltzer, F. Farrow, and H. Richiman. “Policy Options in Long-Term Care,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4. 이상철, 박영란, 정은화. “노인이 인식한 고령친화 환경의 구성개념과 활동적 노화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도시연구 17(2): 119-137, 2016.
  5. 이윤경, 염주희, 이선희. “고령화 대응 노인복지서비스 수요전망과 공급체제 개편”, 보건사회연구원, 2013.
  6.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 요인 분석”, 보건복지포럼, May 2018: 77-89, 2018.
  7. 이민홍, 이재정, 서보경. “노인돌봄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개선 연구: Aging in Place 지원 체계 수립을 중심으로”, 장기요양연구, 제3권제1호: 30-56, 2015.
  8.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 요인 분석”, 보건복지포럼, May 2018: 77-89, 2018.
  9. 남상요. “일본의 재택의료제도 현황과 시사점”, 이슈 & 진단, Vol. 16, No. 4: 67-69, 2018.
  10. 공선희. “영국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역사적 변천과 쟁점: 노인케어의 혼합경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Vol. 35, No.1: 79-88, 2015.
  11. 박은옥. 커뮤니티 케어 정책과 간호.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46-155, 2018.
  12. 이민홍, 이재정, 서보경. “노인돌봄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개선 연구: Aging in Place 지원 체계 수립을 중심으로”, 장기요양연구, 제3권제1호: 30-56, 2015.
  13.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 요인 분석”, 보건복지포럼, May 2018: 77-89, 2018.
  14. 석재은. “지역주도 노인건강돌봄사업의 기본구상”, 한국노인복지학회 추계학술대화 & 워크샵: 88-107, 2017.
  15. 이미애. “노인요양시설입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국의 부양제공자의 부담감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18권제2호: 80-96, 1998.
  16. 김선자. “서울의 고령친화도시 추진 전략”, SDI 정책리포트, 64, May 2010: 1-20, 2010.
  17. 권오정, 이용민, 하해화, 김진영, 염혜실. “노년층의 지역 내 계속 거주 이유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52, No. 3, June 2014: 285-299, 2014.
  18. 이미애.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ADL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1권제2호: 201-210, 2010.
  19. 이미애. “사회적 질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제3호: 271-281, 2015.10.14400/JDC.2015.13.3.271
  20. 이동현. “고령친화형 도시공간 만들기”, BDI 정책포커스(216): 1-12, 2013.
  21. 이희진, 이연숙, 이수진. “환경적 지원성과 활동적 노인의 총체적 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1권제2호: 77-86, 2010.10.6107/JKHA.2010.21.2.077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7
  • No :3
  • Pages :4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