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7, Issue 4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19. pp. 133-13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0세 미만 아동안전사고 위해 현황의 10년 변화 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가이드라인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소비자원이 매년 제공하는 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위해정보주요통계분석)자료 중 2009년과 2018년 10세 미만 아동안전사고 위해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0세 미만 아동안전사고는 2009년 10,090건에서 2018년 21,877까지 분석기간 10년 동안 2.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세 미만 아동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위해품목은 가구 및 가구설비로 , 구조물, 건축물 및 제조용자재(건축/인테리어 자재 및 작업공구),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장비, 용품 및 액세서리(스포츠 및 취미용품)순으로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세 미만 아동안전사고 발생장소로 1위는 가정(주택), 2위는 여가 및 문화놀이시설(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로 10년전과 순위에서는 동일하였으나 2009년 3위였던 상업시설(숙박 및 음식점)은 4위로 2009년 5위였던 교육시설은 3위로 변화되었다. 10세 미만 아동안전사고 위해내용 1위는 충돌/충격(물리적 충격)으로 10년 동안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safety education guidelin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end of 10 years of present status of child safety accidents under 10 years old.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hild safety accidents for children under 10 years of 2009 and 2018 in the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CISS) data provided by the Korea Consumer Resources Corporation every yea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hild safety accidents under 10 years old increased 2.17 times in 10 years from 10,090 cases in 2009 to 21,877 in 2018. The hazards that cause child safety accidents under 10 years of age are furniture and furnishings, followed by structures, buildings and manufacturing materials (building / interior materials and work tools), sports and recreational equipment, supplies and accessories (sports and hobby goods).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hange in what accounts for over 60%. The number one place for child safety accidents under 10 years old is home (housing), and second place is leisure and cultural amusement facilities (leisure, culture and amusement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accommodations and restaurants), which were third in 2009, were fourth, and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were fifth in 2009, were third. The number one risk content for child safety accidents under 10 years of age was collision / shock (physical shock), overwhelmingly high in 10 years.
References
  1. 김성헌, 김현주, 최진탁. “UDL 기반의 도시철도안전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제5권 제1호, pp. 79-86, 2017.
  2. 김소선, 이은숙.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안전사고 발생 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제29권 제1호, pp. 117-126, 1999.
  3. 김신정. “학령전기 아동의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제7권, 제1호, pp. 118-140, 1999.
  4. 김형진. “비콘․센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안전관리 서비스 구현”,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제5권 제1호, pp. 25-31, 2017.
  5. 박은혜. “유치원 안전사고 처리와 판례를 통해 본 교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제 26권 제6호, pp. 83-102, 2006.
  6. 선나미, 이선정. “ICT활용 수업에서 통제방식에 따른 학습효과 및 자기효능감 분석”,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제4권 제2호, pp. 53-58, 2016.
  7. 신기철.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019.
  8. 안수정, 손미아. “김영주 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른 사망원인별 유아사망 불평등 연구”, A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4호, pp. 1919-1832, 2015.
  9. 오효선.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육아지원연구, 제12권 제1호, pp. 173-198, 2012.
  10. 윤선화. “ 아동 사고 사망 요인에 따른 입법 및 규제강화 정책 분석”, 아동권리연구, 제9권 제2호 pp. 203-223, 2005.
  11. 이은숙, 김정남. “도시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 어린이의 안전사고 발생실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7권, pp. 96-112, 2003.
  12. 장석민, 정태화, 옥준필, 이정표, 김선희. “학교안전보건교육 체계화 및 학교 안전관리 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07.
  13. 정병로, 고현규, 이동춘, 이상도. “어린이 가정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용품 개발연구”, 제11권, pp. 481-487, 2007.
  14.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식의약안전팀. “어린이 안전사고 실태조사 안전보고서”, 제2012권 제4호, pp. 1-362, 2012.
  15. 한국소비자원. “2009년도 소비자위해정보주요통계분석”, 서울: 한국소비자원, 2009.
  16. 한국소비자원. “2018년도 소비자위해정보주요통계분석”, 서울: 한국소비자원, 2018.
  17. 한명옥, 유구종.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육아지원연구, 제12권 제1호, pp. 173-198,2017.
  18. Bjaras, G. “The potential of community diagnosis as a tool in planning an intervention program aimed at preventing injuri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제25권 제1호, pp. 3-10, 1993.10.1016/0001-4575(93)90091-A
  19. Glick, D., Krosenfeld, J. and Jackson, K. “Prediction of risk perception of preschoolers”, Health Education Quarterly, 제18권 제30호, pp. 385-298, 1991.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7
  • No :4
  • Pages :13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