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9,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September 2021. pp. 49-56
Abstract
도시의 과도한 인공조명으로 인한 빛공해는 거주지역 노인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빛공해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빛공해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20년 사회조사에서 추출한 도시거주 노인 5,314명을 표본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빛공해는 도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이 거주지역의 빛공해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빛공해는 시력을 매개변수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시의 조명을 계획함에 있어 노인의 시력저하를 예방하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안들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Light pollution from excessive artificial light in the city can influence a range of areas in the life of older person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s of urban light pollution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and to test mediating effect of v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pollu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aim, a total of 5,314 older persons living in the city who participated in 2020 Social Survey of Korea Statistics were analyzed. Analyses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es, descriptive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tudy findings show that light pollu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of urban older persons. That is, older persons’ more negative perception of light pollution in the community decrea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vision i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light pollution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to prevent vision decline an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in planning urban lights.
References
  1. 통계청, "국내통계/주제별 통계/인구/장래인구추계/전국(2017년 기준)/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 등)/ 전국",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content-group, 2021.
  2. 이성은, "노인의 시력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5권 제4호, pp.27-41, 2016.https://doi.org/10.23944/isers.2016.09.55.4.2
  3. 김희정, 김보혜, 김옥수, "노인의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6호, pp.584-594, 2011.
  4. 구본미, 석재은, "노년기 장애발생과 장애정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KLOSA 1차와 2차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pp.993-1011, 2012.
  5. 이창우, "도시 규모별 빛공해 실태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도시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43-57, 2018.
  6. 박재은, 천상현, "서울시 거주자 중심의 체감 빛공해 평가 및 인식조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제6호, pp.335-346, 2018.https://doi.org/10.35216/kisd.2018.13.6.335
  7. 국가법령정보센터,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B8%EA%B3%B5%EC%A1%B0%EB%AA%85%EC%97%90%EC%9D%98%ED%95%9C%EB%B9%9B%EA%B3%B5%ED%95%B4%EB%B0%A9%EC%A7%80%EB%B2%95, 2021.
  8. 박준범, 남궁미,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제8권 제2호, pp.289-303, 2019.https://doi.org/10.25202/JAKG.8.2.12
  9. 통계청, "2020년 사회조사 결과(가족, 교육과 훈련, 건강, 범죄와 안전, 생활환경)",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bmode=read&bSeq=&aSeq=38624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2020.
  1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PMid:3806354
  11. A. F. Hayes, "Beyond Baron and Kenny: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in the New Millennium", Communication Monographs, Vol. 76, No. 4, pp.408-420, 2009.https://doi.org/10.1080/03637750903310360
  12. 허원무,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매개효과 분석 방법", 기업과혁신연구, 제6권 제3호, pp.43-59, 2013.
  13. P. D. Allison,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AS System: Theory and Application", SAS Institute Inc, 1999.
  14. J. Y. Min, and K. B. Min, "Outdoor Artificial Nighttime Light and Use of Hypnotic Medications in Older Adult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Vol. 14, No. 11, pp. 1903-1910, 2018.https://doi.org/10.5664/jcsm.7490PMid:30373695PMCid:PMC6223552
  15. 지은구, 이원주, 김민주, "한국형 고령친화도시 점검척도 개발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459-489, 2013.
  16. 이세규, 박동욱, "도시 고령자의 거주환경과 에이징 인 플레이스 간의 인과성 연구: 신체 및 심리적 건강을 매개변수로", 도시행정학보, 제28권 제2호, pp.287-308, 2015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9
  • No :3
  • Pages :4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