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1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rch 2024. pp. 89-103
Abstract
본 연구는 각종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다양한 스트레스 원천 가운데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비상상황 스트레스를 다룬 선행연구가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상상황 스트레스, 신체피로, 일-여가 균형 및 조직몰입 간의 인과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사회복지사의 성별, 학력, 자격등급, 근속년수 및 혼인상태 등 인구통계요인별로 집단간에 경로의 차이가 있는지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전체표본 분석 결과, 주경로는 ‘비상상황 스트레스→신체피로→일-여가 균형→조직몰입’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에서는 학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일-여가 균형이 조직몰입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속년수가 짧을수록 신체피로가 일-여가 균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사회적 명제에 비추어 볼 때 비상상황 스트레스의 효과적 관리를 통해 신체피로를 낮추고 일-여가 균형을 증대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사들은 일상적인 비상상황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만큼 이들의 비상상황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신체피로를 완화하여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stress, physical fatigue, work-leisur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path analysis,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 prior studies dealing with emergency stress that can be experienced on a daily basis among various stress sources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various social welfare facilities., using multi-group analys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athways between groups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e level,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marital status of social workers. As a result of the overall sampl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route was 'emergency situation stress → physical fatigue → work-leisure balance →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multi-group analysis, work-leisure balance further increa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academic background is relatively low, and physical fatigue negatively affects work-leisure balance as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is shorter.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physical fatigue and increase work-leisure balance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emergency stress in light of the social proposition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through work-life balance. Ultimately, as social workers are exposed to daily emergency stress, institutional efforts are constantly required to lower their emergency stress levels and alleviate physical fatigu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References
  1. 송선미, "스트레스 관리: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2. I. R. Mohamad, et al., "The Impact of Work Stress Towards Work Life Balance In Malaysia",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s, Commerce and Management, Vol. 2, No. 11, pp. 1-16, 2014.
  3. 김진아,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삶의 질의 관계: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Vol. 23, pp. 17-65, 2020.
  4. 백현혜, 황혜원, "개인 및 환경요인이 사회복지사의 일-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 21, No. 9, pp. 622-631, 2021.
  5. 최은정, 양정남, 박선희,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우울,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43, No. 1, pp. 83-110, 2015.
  6. 김소정, 설진화,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Van Kaam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55, pp. 43-73, 2022.
  7. 남희은, 진혜민, 백정원,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6, No. 2, pp. 1045-1053, 2015.10.5762/KAIS.2015.16.2.1045
  8. M. J. Pack,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 56, No. 5, pp. 608-627, 2013.10.1177/0020872811435371
  9. J. L. Bell, "Traumatic Event Debriefing: Service Delivery Designs and the Role of Social Work", Social Work, Vol. 40, No. 1, pp. 36-43, 1995.
  10. C. Figley, "Trauma and its Wake: The Study an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ristol: Brunner Mazel Psychosocial Stress, Vol. 1, No. 4, 1985.
  11. P.S. Lane,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for Health Care Workers", Journal of Death & Dying, Vol. 28, No. 4, pp. 301-315, 1993.10.2190/MPVQ-6FGD-AE87-ER4X
  12. G.J. Devilly, and P. Cotton, "Caveat Emptor, Caveat Venditor, and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Management (CISD/M)", Australian Psychologist, Vol. 39, No. 1, pp. 35-40, 2004.10.1080/00050060410001660317
  13. G.S. DeFraia, "EAP-Based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Utilization of a Practice-Based Assessment of Incident Severity Level in Responding to Workplace Trauma",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ntal Health, Vol. 15, No. 2-3, pp. 105-122, 2013.
  14. N. S. Oster, and C. J. Doyle, "Critical Incident Stress and Challenges for the Emergency Workplace",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18, No. 2, pp. 339-353, 2000.10.1016/S0733-8627(05)70129-210767889
  15. 김승태, 신택현, 이용만, 구승환, "이례상황 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피로가 안전행동과 사고에 미치는 영향 : A지하철 기관사를 중심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101-108, 2014.10.12812/ksms.2014.16.1.101
  16. 신준우, "도시철도기관사의'일과 삶의 균형'의 선행요인과 후행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노춘호, "철도기관사 인적오류의 선행요인 및 후행요인에 관한 행동과학적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8. 윤대원, "철도관제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9. 김중곤, 신택현, "철도관제사의 직무요구, 교대근무, 과업환경 및 스트레스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73-80, 2016.
  20. 박상수, "철도기관사와 관제사의 안전행동 제고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3.
  21. 지유선, 신택현, 정성봉, "철도차량 검수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피로의 매개효과와 통제위치의 조절효과", 도시철도학회논문집, 제6권 제3호, pp. 191-203, 2018.10.24284/JKOSUR.2018.09.6.3.191
  22. D. E., Papalia, S. W., Olds, and R. D., Feldman, "Human development (10th ed.)", McGraw-Hill, 2007.
  23. W. Weiten, "Psychology: Themes and variations (8th ed.)", California: Wadwort, 2010.
  24. 김중곤, "철도관제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피로 및 일과 삶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피로의 매개효과와 조직기반 자긍심의 조절효과", 도시철도학회논문집, 제9권 제2호, pp. 869-881, 2021. 10.24284/JKOSUR.2021.06.9.2.869
  25. 오명옥, 성미혜, 김양원,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피로,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임상간호연구, 제17권 제2호, pp. 215-227, 2011.
  26. 김정운,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제5권 제3호, pp. 53-69, 2008.
  27.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장훈,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제2권 제3호, pp. 29-48, 2005.
  28. P.E. Spect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second edi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000.
  29. 손원일, 권혁기,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일가치감의 조절효과", 한국산업시스템연구, 제23권 제5호, pp. 77-87, 2018.
  30. 황유경, "MICE산업 종사자의 워라밸이 조직몰입과 자아존중감(self-esteem)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31. 김지혜, 강종수, "워라밸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 165-166, 2021.
  32. 히든그레이스 논문통계팀,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AMOS 구조방정식 활용과 SPSS 고급 분석", 한빛아카데미, 2020.
  33. 김중곤, "철도관제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4. 박영석, "안전심리코칭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한국안전보건공단, 2011.
  35. 지유선, "철도차량 검수직 종사자의 사고발생 요인 및 영향관계 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6. 김승태, 신택현, 이용만, 구승환, "이례상황 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피로가 안전행동과 사고에 미치는 영향: A지하철 기관사를 중심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101-108, 2014.10.12812/ksms.2014.16.1.101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12
  • No :1
  • Pages :8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