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9,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June 2021. pp. 71-81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병원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연구들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 36편이었고, 177개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833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개인 자원이 직무스트레스 완화시키는 큰 효과크기가 있었다. 프로그램 유형은 예술프로그램에서 매우 큰 효과크기이었고, 다음으로 인지행동프로그램도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근무부서별로는 외래간호사와 정신과병동간호사에서 거대한 효과크기가 있었다. 프로그램 운영은 주 2회에서, 회기별 운영시간은 60분 이상 180분 이하에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조절효과는 운영 횟수와 발표 연도에서 나타났다.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개인 자원을 강화하고 인지적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간호조직에서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ttempted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domestic hospital nurse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studies. The research subjects have been 36 studies published in Korea so far, and the results of 177 effect sizes combine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nurse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0.833.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had a large effect size that strengthened individual resources and alleviated occupational stress. The type of program was a very large effect size in art programs, followed by cognitive behavioral programs with a moderate effect size. By department of work, there was a huge effect size in outpatient nurses and psychiatric ward nurses. On the other hand, emergency room nurses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The program had a large effect when it operated twice a week and for more than 60 minutes and less than 180 minutes per session. The effect of regulation was shown in the number of operations and the year of publicatio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 nurse’s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e occupational stress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personal resources and supplement cognitive aspects.
References
  1. 업무상 자살, https://m.medigatenews.com/news/2636134103
  2.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http://www.whosaeng.com/99605
  3. 문희, 김지영,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논문지, 제12권 제2호, pp.173-181, 2018.https://doi.org/10.21184/jkeia.2018.2.12.2.173
  4. 김남희, 박선영,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직무수행능력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20권 제12호, pp.883-895, 2020.
  5. 이승영, 김덕호,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27권 제3호, pp.215-223, 2019.
  6. 심지연, 서남숙, 김미애, 박정숙,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피로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27권 제4호, pp.344-352, 2019.
  7. 김명숙, 김갑중, 김연옥,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77-87, 2020.
  8. 김미경, 이상미,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 활동 간의 인과관계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40-352, 2019.
  9. 왕은자, 전민아, 홍희정,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제18권 제5호, pp.487-512, 2016.https://doi.org/10.15703/kjc.17.5.201610.487
  10. 백희정, 윤미라, 김인아, 임준, 최경옥, 홍은영,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 제도 마련에 관한 정책 연구",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8-821, 2018.
  11. 백희정, 김인아, 박주현, 윤미라, 남은정,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도구 현장 적용",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9-1433, 2019.
  12. 근로기준법 제76조, https://www.law.go.kr
  13. 간호정책과 신설,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035
  14. 김매자, 구미옥,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15. 김기경, 허혜경, "교정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원인에 대한 내용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18, 2005.
  16. 최서란, 정혜선,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논문분석",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40-47, 2004.
  17. 이윤정, 이복임,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외 연구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3-23, 2013.https://doi.org/10.5807/kjohn.2013.22.1.13
  18. 최서란, 정혜선,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1-82, 2005.
  19. 정지현,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아로마테라피 연구의 동향 및 제안",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0. 이진혜, 김희정, 임사라, "경력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정신간호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90-204, 2019.
  21. 김원순, 오수미, "한국 간호사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 동향",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제5권 제2호, pp.864-880, 2017.
  22. J. H. Littell, J. Corcoran, and V. Pillai,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https://doi.org/10.1093/acprof:oso/9780195326543.001.0001
  23. M. Borenstein, L. V. Hedges, J. P. T. Higgins, and H. R. Roth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 2009.https://doi.org/10.1002/9780470743386
  24. How to Calculate Effect Sizes from Published Research: A Simplified Methodilogy, http://work-learning.com/effect_sizes.htm.
  25.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Academic Press, 1988.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9
  • No :2
  • Pages :7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