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메타버스를 활용한 비대면 상담 방안 탐색

    Exploring Non-Face-to-Face Counseling Strategies Utilizing the Metaverse

    이연순, 신재한

    Lee Yeon Soon, Shin Jae Han

    최근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비대면 상담이 심리치료의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비대면 상담의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 상담 …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metaverse technology, non-face-to-face counseling has gained attention as a new approach to psychotherapy. This study aims to …

    + READ MORE
    최근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비대면 상담이 심리치료의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비대면 상담의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 상담 방식과의 차이점을 분석하며, 메타버스 기반 상담의 효과성을 탐구하고 메타버스 상담의 원리와 모형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 상담은 기존 비대면 상담의 단점을 보완하며, 내담자의 익명성 보장, 접근성 향상, 심리적 부담 감소 등의 장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 환경에서 내담자가 더 자유롭게 정체성을 탐색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 심리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담자-내담자 간의 비언어적 소통 부족, 기술적 문제, 윤리적 고려 사항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상담 모델을 제안하며, 향후 연구 방향과 상담 실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metaverse technology, non-face-to-face counseling has gained attention as a new approach to psychotherapy.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metaverse-based counseling, analyze its differences from traditional counseling methods, explore its effectiveness, and propose principles and models for metaverse counsel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metaverse counseling addresses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remote counseling by enhancing anonymity, improving accessibility, and reducing psychological burden for clients. Moreover, metaverse environments enable client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and express emotions more freely, thereby contributing to better therapeutic outcomes. However,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technical issu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remain. This study proposes a metaverse-based counseling model and discus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for counseling professionals.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CPTED 시설물이 지역 대학생 범죄 두려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시 동작구 스마트 안전마을 조성 사업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CPTED Facilities on the Perception of Fear of Crime of Local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Smart Safety Village Construction Project in Dongjak-gu, Seoul

    장우찬, 박민경, 정회윤

    Woochan Chang, Minkyung Park, Hoeyoon Jung

    본 연구는 서울시 동작구 스마트 안전마을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된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시설물이 대학생들의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Colaizzi의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acilities installed as part of the Smart Safe Village Development …

    + READ MORE
    본 연구는 서울시 동작구 스마트 안전마을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된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시설물이 대학생들의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한 연구이며, 구체적으로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시설물의 효과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CPTED 사업의 개선 및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동작구에 거주하는 20대 남녀 7명을 선정하여 연구 참여자로 하였고,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진술된 내용은 모두 녹음 되어 전사하였다. 전사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5단계의 과정을 통해 37개의 구성된 의미, 18개의 주제, 9개의 주제 모음을 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 ‘경험 양상’, ‘안전 인식’, ‘공간 경험’이라는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CPTED 시설물이 대학생의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CPTED 시설물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실증에 있어 나름의 맥락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acilities installed as part of the Smart Saf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n Dongjak-gu, Seoul on undergraduate students’ fear of crime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help improve and activate CPTED projects in the future by deepl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acilities through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o this end, sev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Dongjak-gu,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and all statement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extracted 37 constructed meanings, 18 themes, and 9 theme groups through the five-step proces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finally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experience aspect’, ‘safety perception’, and ‘spatial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given contextual meaning in future empirical studi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PTED facilities by deeply analyzing the effects of CPTED facilities on undergraduate students' fear of crim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미네르바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대학생의 문제해결 인식과 문제해결 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erva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Problem Solving

    김세영, 이한진

    Seyoung Kim, Hanjin Lee

    본 연구는 미네르바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inerva Online Project-Based Learning(PBL) affect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problem solving and their experiences of problem …

    + READ MORE
    본 연구는 미네르바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H대학교 교양 교과목으로 운영된 미네르바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해 혼합설계 연구방법을 적용해 학생들의 문제해결 인식 변화와 경험을 분석하였다. 먼저, 참여 학생의 문제해결 인식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26명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했으며, 분석결과 문제해결 인식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문제해결 학습경험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단계별 전략과 스킬 습득, 적용 중심의 실제적 학습경험, 팀 기반의 프로젝트를 통한 긍정적 학습경험, 문제해결에 대한 인식 변화라는 4개 주제, 9개의 범주, 21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이상 종합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문제해결역량 함양을 지원하는 온라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수설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inerva Online Project-Based Learning(PBL) affect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problem solving and their experiences of problem solving. To this end, Minerva PBL class was implemented as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H University, and a Mixed Method Research was appli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problem-solving. First,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on 26 students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e pre-test and post-test to determine the change in students' problem-solving percep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sub-factors of problem-solving perceptions. In additio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learning experie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4 themes, 9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acquisition of strategies and skills in problem-solving steps, application-oriented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eam-based projects, and change in perceptions of problem-solving.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online PBL to support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are presented.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북지역 대학생 중심으로-

    Th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Career Adaptabi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Roles of Grit and Social Support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Jeonbuk Region-

    김희동, 이성희

    Heedong Kim, Seonghee Lee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디지털 학습환경의 변화, 사회·경제적 불확실성 등 급변하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대학생들은 다양한 진로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로인해 자기주도적 진로계획과 …

    In the context of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including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s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uncertainty university …

    + READ MORE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디지털 학습환경의 변화, 사회·경제적 불확실성 등 급변하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대학생들은 다양한 진로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로인해 자기주도적 진로계획과 적응역량이 요구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과 환경적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그릿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4년 9월 10부터 11월 12일까지 총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3.0을 활용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그릿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성장마인드셋의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조절적 환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심리적·환경적 자원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In the context of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including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s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uncertainty university students are facing increasingly complex career-related challenges. These circumstances demand enhanced self-directed career planning and adaptabilit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both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career adaptabi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social support in this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survey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0 and November 12, 202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growth mindse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grit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social support served as a moderating environmental factor that strengthened th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tronger the influence of growth mindset on career adapt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integrative approach encompassing both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is essential for enhancing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The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s aimed at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competence.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성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이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Adul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on Learning Transfer

    이미영

    Mi-Young Lee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이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dul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on learning transfer. …

    + READ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이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25세 이상의 성인대학생 122명의 응답 자료를 SPSS 24.0과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몰입, 학습 전이 간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둘째, 성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습 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몰입이 추가된 모형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몰입을 매개하여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만 유의하였다. 즉,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성인대학생의 학습 전이를 향상하는 전략으로 디지털 역량 교육과 함께 학습몰입 지원을 고려하는 전략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dul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on learning transfer. For this purpose, we used SPSS 24.0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to test the response data of 122 adult university students aged 25 or older attending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learning flow, and learning transfer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dul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in the model where learning flow was added, only the indirect effect of digital literacy affecting learning transfer by mediating learning flow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strategy that considers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and learning immersion support together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learning transfer of adult university students.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 리터러시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Literacy Perceptions in Korean Society Using Text Mining

    양민호, 김준환, 임석진

    Minho Yang, Joonhwan Kim, Seokjin Im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리터러시 담론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요 포털사이트 및 …

    This study analyzes how multicultural literacy is discussed in Korea, a society undergoing rapid multicultural transitions, using text mining methods. To this …

    + READ MORE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리터러시 담론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요 포털사이트 및 SNS 플랫폼에서 수집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리터러시’에 대한 언어적 구성과 주제 구조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TF(Term Frequency) 분석을 통한 핵심 키워드 추출, Word2Vec 기반 의미 연관성 분석, K-means 클러스터링을 통한 주제별 키워드 군집화, 그리고 BERTopic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언어’, ‘포용’, ‘교육’ 등과 같은 키워드가 중심적으로 등장하였으며, 이는 다문화 리터러시가 문화 이해를 넘어 디지털 역량, 사회 통합, 공공 정책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BERTopic 분석을 통해 도출된 30개의 토픽은 계층적 구조로 정리되어, 디지털 리터러시, 행정 제도, 가족 지원, 언어권 보장 등 상이한 주제가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정책 수립 및 포용적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며, 다문화 리터러시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논의를 심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w multicultural literacy is discussed in Korea, a society undergoing rapid multicultural transitions, using text mining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linguistic construction and thematic structure of “multicultural literacy” based on text data collected from major portal sites and social media platform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includes Term Frequency (TF) analysis for extracting core keywords, Word2Vec-based semantic similarity analysis, K-means clustering for topic-wise keyword grouping, and BERTopic-based topic modeling. The results highlight keywords such as “foreigner,” “language,” “inclusion,” and “education” as central to the discourse, indicating that multicultural literacy extends beyond cultural understanding to encompass digital competence, social integration, and public policy. The 30 topics identified through BERTopic were organized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revealing how diverse issues such as digital literacy, administrative systems, family support, and language rights are interconnecte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establishing inclusive language policies and developing communication strategies in multicultural context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and policy-level discourse on multicultural literacy.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백설공주』에 나타난 주체 형성의 구조: 프로이트, 라캉, 클라인을 통한 정신분석적 독해

    The Structure of Subject Formation in Snow White: A Freudian, Lacanian, and Kleinian Psychoanalytic Reading

    박선영

    Seon-Young Park

    본 논문은 고전 동화 󰡔백설공주󰡕 의 서사와 구조를 S. 프로이트, 자크 라캉과 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 이론에 기반하여 해석함으로써 주체 형성과 욕망, 불안, …

    This study offers a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fairy tale Snow White through the theories of S. Freud, Jacques Lacan and …

    + READ MORE
    본 논문은 고전 동화 󰡔백설공주󰡕 의 서사와 구조를 S. 프로이트, 자크 라캉과 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 이론에 기반하여 해석함으로써 주체 형성과 욕망, 불안, 타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의 상징적 구조를 재조명한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개념은 왕비와 백설공주 간 대립을 잘 해명해준다. 라캉의 이론을 통해 백설공주는 상상계의 이미지, 상징계의 언어, 실재계의 외상을 차례로 통과하며 주체로 재구성되는 여정을 보여준다. 왕비는 타자의 시선에 의해 자기 동일성을 위협받고 투사와 파괴를 반복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클라인의 관점에서는 여왕의 행위를 투사적 동일화, 편집-분열적 위치로 분석하고 백설공주의 죽음과 되살아남을 우울적 위치와 회복의 과정으로 해석한다. 특히 유리관 속 썩지 않는 백설공주의 형상은 실재계의 침입과 응시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라캉과 클라인의 개념은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하며 문학 텍스트가 인간 심리의 무의식 구조를 어떻게 형상화하는지를 밝혀준다. 그리고 백설공주에 대한 전복적 재읽기를 통해 백설공주가 진정한 주체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논의했다. 본 분석은 단순한 선악 대결의 동화로 읽히던 󰡔백설공주󰡕를 외상, 결핍, 욕망, 대상관계의 심리적 드라마로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과 정신분석 간의 융합적 독해 가능성을 제시하며 현대적 시각에서 고전 서사를 재구성하는 하나의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This study offers a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fairy tale Snow White through the theories of S. Freud, Jacques Lacan and Melanie Klein. Freud’s concept of the Oedipus complex offers a compelling explanation for the conflict between the Queen and Snow White. From a Lacanian perspective, Snow White transitions through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revealing the structural dynamics of subject formation. The Queen is portrayed as a fragmented subject driven by projection and symbolic displacement. Klein’s concepts of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and the depressive position help explain the emotional and relational dynamics between characters. Snow White’s symbolic death and revival are interpreted as a passage through trauma and reparation. The incorruptible body in the glass coffin is read as a visual manifestation of the Real and the structure of the gaze. This study also explored how a subversive reading of Snow White can suggest a trajectory toward her emergence as a genuine subject. Combining Lacanian and Kleinian frameworks, this study reframes Snow White as a psychological drama of desire, fragmentation, and symbolic rebirth. It contributes to the dialogue between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by reinterpreting classic narrative through modern theory.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메타버스 및 AI 기술 기반의 학생 정신건강 관리 플랫폼 사례 분석

    Analysis of Student Mental Health Management Platforms based on Metaverse and AI Technologies

    김진식, 황이환

    Jinsik Kim, Leehwan Hwang

    본 연구는 메타버스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청소년과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플랫폼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COVID-19 팬데믹 이후 10~20대 청년 등을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a mental health management platform that leverages metavers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to support the …

    + READ MORE
    본 연구는 메타버스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청소년과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플랫폼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COVID-19 팬데믹 이후 10~20대 청년 등을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고립, 미래에 대한 불안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오프라인 상담 서비스는 노출에 대한 두려움, 전문 인력의 부족, 시간과 공간의 제약 등으로 접근성이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과 AI 기반 감정 분석의 융합이 더 몰입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구축할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해당 기술은 정서적 완화, 접근성 향상, 개인 맞춤형 심리적 케어 제공 등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아울러 향후 플랫폼 개발에 있어 실증적 검증, 고도화된 AI 알고리즘, 사회문화적 수용성, 정책적 기반 마련 등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청년 세대의 요구에 맞는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디지털 정신건강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a mental health management platform that leverages metavers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to support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university student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young individual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psychological challenges, including academic stress, social isolation,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However, access to traditional offline counseling services remains limited due to fear of exposure, a shortage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constraints of time and location.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integration of metaverse environments and AI-driven emotional analysis can create a more immersive and user-centered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The study highlights the value of these technologies in facilitating emotional relief, enhancing accessibility, and personalizing psychological care. Moreover, the paper proposes that future platform development should be grounded in empirical validation, advanced AI algorithms, and considerations of Soci-cultural acceptability and policy support. These efforts can contribute to building a sustainable and inclusive digital mental health ecosystem tailored to the needs of younger generations.

    - COLLAPSE
    30 June 2025
  • Research Article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삶의 만족도 및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직원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on Life Satisfaction and Work-Life Bal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주가서, 이현응

    Jiarui Zhu, Hyuneung Lee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의 양면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HPWS가 직원열의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분석하고, 두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wo-sided effect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HPWS) by analyzing the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

    + READ MORE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의 양면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HPWS가 직원열의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분석하고, 두 효과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조직 구성원 192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직원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원열의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열의는 HPWS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그리고 HPWS와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HPWS가 직원열의를 통해 삶의 만족도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HPWS를 운영함에 있어 심리적 지원 체계 강화와 다양한 복리후생 제도의 도입을 병행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과관리 시스템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wo-sided effect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HPWS) by analyzing the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negative impact on work-life balance, both mediated by employee engagement, and comparing the magnitude of both effects. After analyz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92 employees, the following key findings emerged. First, HPW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econd, employee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Third, employee engage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work-life balance.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of HPWS on life satisfaction and on work-life balance via employee eng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PWS should be established as a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strengthen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introducing various welfare benefits.

    - COLLAPSE
    30 June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