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9, Issue 3

Research Article

30 September 2021. pp. 1-16
Abstract
본 연구는 만 4세 바다반 유아의 실외 모래놀이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놀이 참여 태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의 만 4세 바다반 유아 27명을 대상으로 모래놀이 관찰 및 영상촬영, 유아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는 반복적으로 참여하는 놀이, 자연물과 함께하는 놀이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는 실외 모래놀이에 대한 높은 참여율을 의미하며, 특히 남아들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양한 주제로 모래놀이가 진행되는 가운데, 한 개의 주제가 반복 심화되어 나타나기도 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실외 모래놀이는 자연물과 함께 이루어 질 때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 내는 등 더욱더 풍성한 놀이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둘째,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에 참여하는 태도는 크게 적극적인 참여 태도, 제한적이거나 소극적인 참여 태도, 방관자적 참여 및 비참여 태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놀이에 참여하는 태도에 대하여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실외 모래놀이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실외 모래놀이가 갖는 중요성을 재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outdoor sand play by children aged 4 at the Bada Class so understand aspects of the play and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towards the play.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27 children aged 4 who were attending the Bada Class, a private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at Seoul.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research, the study observed children’s outdoor sand play with video recording, conducted interviews with childre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utdoor sand play by the Bada Class children aged 4 had an aspect of sand play which always continu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and play with natural objects. It means that they showe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outdoor sand play enough to enjoy it about every other day, in particular, boys had a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Furthermore, it also means play at a sand playground is done with various themes but sometimes a single theme is repeated and intensified. Besides, outdoor sand play created a new role when they played with natural objects, leading to more active play. Second, as for the attitudes 4-year-old Bada Class children showed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outdoor sand play, they had an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limited or passive attitude, onlooking or non-participatory attitud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outdoor sand play and reconfirmed its importance via specific case analysis on aspects of the outdoor sand play by 4-year-old children at the Bada Class and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References
  1. H. P. Daniel, "새로운 미래가 온다: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김명철 역)", 한국경제신문사, 2012(원서 2011 출판).
  2. https://www.moe.go.kr/boardCnts/list.do?m=02&s=moe&searchType=S&page=1&boardID=294&prntBoardID=0&prntBoardSeq=0&prntLev=0
  3. J. E. Johnson, J. F. Christie, and F. Wardle,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6.
  4. 김태영, 엄정애, "실내 자유놀이 시간에 나타나는 유치원 교사의 놀이 개입", 교육과학연구, 제50권 제3호, pp.1-32, 2019.https://doi.org/10.15854/jes.2019.9.50.3.1
  5. 이화정, "실외놀이시설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와 놀이시설별 유아의 놀이형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6. 장한빛, "유치원에서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실외놀이영역 선호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7. 조희순, "유아의 모래놀이에 관한 일연구: 모래상자와 블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8. 이선애, 김종석, 이채호, "유아와 바깥 놀이: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009.
  9. 이숙재, "(개정판) 영유아 놀이 활동", 서울: 창지사, 2011.
  10.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11. J. H. Block, "Mastery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1.
  12. 천은영, "모래놀이 활동에서 교사개입과 보조 자료 활용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3. 최선미,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조형숙, 주현정, "유아교사가 모래놀이 교육경험을 통해 인식한 교육적 의미와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제22권 제3호, pp.5-36, 2018.https://doi.org/10.32349/ECERR.2018.6.22.3.5
  15. 곽희숙, "정서 ‧ 행동장애 특성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적용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소은영, "모래놀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성향을 지닌 유아의 과잉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이민희, "보육기관에서의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이승출, "자아를 탄생시켜가는 유아의 모래 놀이치료 사례 연구", 모래놀이치료연구, 제13권 제2호, pp.1-28, 2017.
  19. 장미화, "스트레스 대처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의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도영숙, "실내 모래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1. 이연화,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실외모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천은영, 박화윤, 김오순, "생활주제에 따른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 사회적 기술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69-85, 2005.
  23. 한유남, "자연물과 함께하는 모래놀이가 유아의 창의성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강나리,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이손연,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정서지능,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6. 박향아, 김민정, 안경매, 최선미, "모래 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35권 제5호, pp.95-110, 2015.https://doi.org/10.18023/kjece.2015.35.5.005
  27. 권유진, "구성주의적 모래상자놀이가 유아의 수학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8. 박진옥, "모래놀이, 물놀이가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29. 박화윤, 천은영, 이수정, "자유놀이시간의 교사개입에 의한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학성취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40권, pp.71-88, 2005.
  30. 이효진, "만 5세 유아의 모래놀이 행동 및 과학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1. 이유현, "자연물을 이용한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2. 이지민,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유무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3. 최보람, "자연친화적 놀잇감을 활용한 모래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김순정, "모래놀이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상상놀이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5. 권기현, "실외모래놀이에서 자연물과의 만남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6. 김경연, "실외 모래놀이 영역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아동의 놀이행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7. 양현주, "모래놀이에서 소품 및 물의 제공이 유아의 놀이형태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힉위논문, 2003.
  38. 인나영, "물 공급의 유무에 따른 7세 아동의 모래놀이의 내용과 형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9. 박애자,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물 ‧ 모래놀이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3권 제2호, pp.95-118, 1999.
  40. 부은영, "단일연령과 혼합연령집단에 따른 유아의 사회 ‧ 인지적 놀이 비교: 물 ‧ 모래놀이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1. 김소영, "만5세 유아들 모래놀이의 집단 구성, 놀잇감 및 주제 선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2. 봉진영, "유치원 만 4세 유아의 모래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3. 손현미, "만2세 영아의 모래놀이 과정과 경험",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4. 오현경, "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의 실외모래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5. 박태희,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6. 주현정, "유아를 위한 모래놀이 연계 A-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47. 이한별,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9
  • No :3
  • Pages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