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9,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rch 2021. pp. 75-83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군집 유형을 분류하고 그 군집 유형에 따른 대인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대구·경북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43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보육교사들의 정서노동 유형을 군집화하기 위하여 정서노동의 표준점수를 이용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군집 유형은 고정서노동형, 정서조화형, 정서억제형, 정서자연형의 4가지로 나누어 졌다. 둘째, 이 군집 유형들에 따라 대인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서노동형 보육교사들의 대인스트레스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자아존중감은 낮았으며, 정서조화형 보육교사들의 대인스트레스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자아존중감은 높았다. 결론적으로 정서조화형 집단의 교사들이 보육현장에서 겪게되는 대인스트레스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자아존중감도 높아 정서조화형의 보육교사가 가장 효율적인 정서노동을 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lusters of the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strateg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stress and self esteem. 437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K- 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As a resul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4 clusters of the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strategies, which were ‘High emotional labor type’, ‘Harmonic emotional labor type’, ‘Suppressed emotional labor typ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stress and self esteem according to the type of cluster. Preschool teachers in the ‘High emotional labor type’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and low level of self-esteem. However, preschool teachers in the ‘Harmonic emotional labor type’ showed a low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and high level of self-esteem. Therefore, ‘Harmonic emotional labor type’ can be the most efficient emotional labor cluster type.
References
  1.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 문영경, 장혜주, "보육교사의 대인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정서노동전략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제119호, pp.1-26, 2019.https://doi.org/10.37918/kce.2019.11.119.1
  3.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4권 제4호, pp.567-589, 2009.
  4. 김수연,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군집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 장창곡, 백미란, 이지연, "대학진학지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군집유형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21-43, 2015.
  6. 장현일, 김도연, "초·중등교사, 특수교사, 전문상담(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차이 연구: 성별, 경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20권 제13호, pp.1197-1219, 2020.
  7. 민현숙, 이영, "유아의 나레이티브 반응 프로파일 유형별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대한가정학회, 제48권 제8호, pp.1-12, 2010.https://doi.org/10.6115/khea.2010.48.8.001
  8. 손환희, 정계숙,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213-232, 2011.
  9. 김혜리, 어성연,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제21권 제6호, pp.77-103, 2017.
  10.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CA:Freeman & Co, 1967.
  11.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 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2. 정경진, "직장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송경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의사소통,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김구, "사회과학 계량분석의 활용", 비앤엠북스, 2008.
  15. 김현주, "업무 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지영,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Information
  • Publisher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 Publisher(Ko) :융복합지식학회
  • Journal Title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 Journal Title(Ko)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Volume : 9
  • No :1
  • Pages :7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