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NFT 포토카드 서비스에서 몰입과 게임화, NFT 기술 활용이 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Cosmo 의 사례 연구
The Effects of Flow, Gamification, and Using NFT Technology on Fan Interaction in NFT Photocards Platform: A Case Study of Cosmo
-
황양휘, 강지영
Yanghui Huang and Jiyoung Kang
- 본 연구는 NFT 포토카드 플랫폼 Cosmo에서의 게임화 전략이 팬들의 참여도와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NFT 기술이 K-pop 팬덤 내 팬 경험을 어떻게 …
This study examines how gamification strategies on the NFT photocard platform, Cosmo, influence fan engagement and immersion, exploring how NFT technology enhances …
- 본 연구는 NFT 포토카드 플랫폼 Cosmo에서의 게임화 전략이 팬들의 참여도와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NFT 기술이 K-pop 팬덤 내 팬 경험을 어떻게 강화하는지를 탐구하였다. Cosmo 플랫폼 사례를 통해, NFT 포토카드가 디지털 소유감을 제공하고 팬의 몰입도를 높이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NFT 기술이 팬과 아티스트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팬 충성도를 강화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일반화된 NFT 포토카드 발전 방안은 실증적 검증이 필요한 단계이며, 사용자 평가를 통한 몰입 경험 분석이 부족한 한계가 있다.향후 연구에서는 NFT 플랫폼 간의 비교를 확대하고, VR 콘서트 티켓으로서의 NFT 응용 가능성을 탐구할 것을 제안한다.
- COLLAPSE
This study examines how gamification strategies on the NFT photocard platform, Cosmo, influence fan engagement and immersion, exploring how NFT technology enhances fan experiences within K-pop fandoms. Through the case of Cosmo,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for NFT photocards in promoting digital ownership and increasing fan immersion.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at NFT technology fosters interaction between fans and artists, offering a novel means to strengthen fan loyalty. The generalized NFT photocard development plan proposed in this study is at a stage that requires empirical validation, with a limitation being the lack of user evaluations for analyzing fan immersion experiences. Future studies could expand comparisons among NFT platforms and explore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NFTs, such as their use as VR concert tickets, to enhance fan experiences.
-
NFT 포토카드 서비스에서 몰입과 게임화, NFT 기술 활용이 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Cosmo 의 사례 연구
-
Research Article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소비자의 ESG 인식과 접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ESG Awareness and Accessibility of Consumers through Text Mining
-
김준환, 임석진
Joonhwan Kim and Seokjin Im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과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인식과 점자표기를 통한 접근성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 마이닝 …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sumers' perceptions of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nd their responses to accessibility improvements through braille labeling using …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과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인식과 점자표기를 통한 접근성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해 빅카인즈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ESG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소비자의 심층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19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SG 경영활동은 기업태도와 고객참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태도와 고객참여행동은 각각 만족도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들이 ESG 활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수행하고, 점자표기 등 접근성 향상 방안을 도입하는 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 동시에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sumers' perceptions of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nd their responses to accessibility improvements through braille labeling using text mining and surveys. By employing text mining techniques, we analyzed BIGKinds data to extract key keywords related to ESG and gain in-depth insights into consumer reactions. To this en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90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significantly influence corporate attitudes and customer engagement behaviors. Furthermore, corporate attitudes and customer engagement behaviors positively affect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s,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to implement ESG activities more comprehensively and adopt accessibility enhancement measures such as braille labeling.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at enable companies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their brand image.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소비자의 ESG 인식과 접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Research Article
-
재난 후 공동체 탄력성이 노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affected by Disaste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제선, 임진섭
Je-Sun Kim and Jin-Seop Lim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후 공동체 탄력성이 노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가 이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community resilience is a factor affecting elderly depression after a disaster and what …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후 공동체 탄력성이 노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가 이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2018년 재난피해자 패널조사(3차년도)의 원자료’ 중 876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종속변수인 재난 경험 노인의 우울증 수준은 전체 노인 우울증 수준보다 높았다. 둘째, 재난 경험 노인의 우울증은 공동체 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재난 후 공동체 탄력성은 노인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수로서 부(-)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경험을 한 노인에 대해 재난 후에도 심리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공동체 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 및 강화해야 하며, 전국적으로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노인 맞춤형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하고, 재난에 따른 사후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등을 제언하였다.
- COLLAP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community resilience is a factor affecting elderly depression after a disaster and what mediating effect social support h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876 people from the 2018 Disaster Victim Panel Survey (3rd year) colle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ho experienced disaster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elderly in Korea. Second, the depression in the elderly by disaster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ird, community resilience after disaster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variable for elderl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a mediating factor, each negatively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elderly depression. It wa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eatment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communit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networks should be built and strengthened to ensure their safety from disasters, and customized disaster preparedness plans for the elderly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and post-disaster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strengthened.
-
재난 후 공동체 탄력성이 노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Research Article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표면행위 및 심층행위가 직무만족도와 서비스품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ervice Workers’ Surface and Deep Behaviors 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Level
-
박일순
Ilsoun Park
- 본 연구는 뷰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표면행위 및 심층행위가 직무만족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품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
- 본 연구는 뷰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표면행위 및 심층행위가 직무만족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품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내재적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심층행위는 내재적, 외재적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무만족은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대응성, 공감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외재적 직무만족은 유형성, 대응성, 신뢰성, 확신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는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심층행위는 신뢰성, 확신성, 대응성, 공감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차원에서 종사자들이 정서적 안정을 갖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업무시간 준수, 합리적인 보상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정서적 피로 회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뷰티 종사자들의 감정을 개인 차원과 조직 차원에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provided to customers for beauty industry wor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and deep act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angibility, reliability, assurance, responsiveness, and empathy,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angibility,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assuranc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angibility, reliability, and assurance, and deep act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liability, assurance, responsiveness, and empathy. This suggests that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systems such as compliance with working hours and reasonable compens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employees can focus on their work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to operate various programs for emotional fatigue recover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how to manage the emotions of beauty worker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표면행위 및 심층행위가 직무만족도와 서비스품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
Research Article
-
데이터 전문사서 양성 교육을 위한 대학·전문도서관 사서의 수요 분석
Demand Analysis of University and Specialized Librarians for Data Librarian Training Education
-
서지훈, 김진묵, 김규환, 박옥남, 이석형
Ji-Hoon Seo, Jin-Mook Kim, Gyu-Hwan Kim, Ok-Nam Park, and Seok-Hyoung Lee
- 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차세대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디지털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도서관의 역할이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데이터 관리와 활용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
With the emergence of next-generation technologies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ole of libraries has expanded beyond tra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to …
- 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차세대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디지털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도서관의 역할이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데이터 관리와 활용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 영역에서도 데이터 전문사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데이터 전문사서를 양성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데이터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을 설계하기 위해서 국내의 대학과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사서들은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데이터 큐레이션 등 다양한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데이터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데이터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모델 구축과 실무 중심의 데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With the emergence of next-generation technologies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ole of libraries has expanded beyond tra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to encompass data management and utilization, alongside the exponential growth of digital data. Consequently, the necessity for data librarians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within the library sector, highlighting the urgent need fo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to cultivate such professionals. To address this need,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analysis targeting librarians in universities and specialized libraries across South Korea to design an education program tailored for training Korean data librarians. Various analytical approaches were appli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indicate that librarians recognize the necessity of acquiring diverse competencies, including data literacy,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and data curation, with a particularly stro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data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educational model for training data librarians an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field-oriented data education programs.
-
데이터 전문사서 양성 교육을 위한 대학·전문도서관 사서의 수요 분석
-
Research Article
-
ISO 42001 기반 AI 사용환경에서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점검항목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ISO 42001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 AI Environments
-
우지민, 김창현, 이한진
Jimin Woo, Changhyeon Kim, and Hanjin Lee
- 최근 AI의 급격한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에 적용됨에 따라, 정보보호 및 자료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AI 시스템에서 발생할 …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across various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data management has …
- 최근 AI의 급격한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에 적용됨에 따라, 정보보호 및 자료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AI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보호 위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적절한 보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표준화된 관리체계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제적 표준에서 제시하는 AI 관리체계의 주요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AI 사용 환경에 적합한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점검항목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 AI 시스템의 신뢰성, 투명성, 윤리적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정보보호 통제 항목을 규명하고, AI 시스템의 설계, 운영, 유지보수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점검 기준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AI 시스템을 운영하는 조직이 ISO 42001을 준수하여 정보보호 위험을 최소화하고, 신뢰성 있는 AI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관리체계를 제시하여 산업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 COLLAPSE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across various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data manage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sequently, a standardized management framework is essential to effectively address information security threats in AI systems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protective measure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by analyzing the key requirements of the AI management framework outlined in ISO 42001 and identifying security management audit items suitable for AI environment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information security control items that ensure the reliability, transparency, and ethical use of AI systems, while proposing inspection criteria applicable to the design,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es of AI systems. Through these efforts,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a concrete management framework that enables organizations operating AI systems to comply with ISO 42001, minimize information security risks, and build trustworthy AI environment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practically to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ecurity and management systems in various industries where AI technology is applied.
-
ISO 42001 기반 AI 사용환경에서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점검항목 연구
-
Research Article
-
성, 연령, 가정의 디지털 자원과 어머니 - 유아의 디지털 공동사용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x, Age, Home Digital Resource and Mother-Child Digital Co-use on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문영경
Young-Kyung Moon
- 본 연구는 성, 연령, 가정의 디지털 자원과 어머니-유아의 디지털 공동사용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sex, age, home digital resources and mother-child digital co-use o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
- 본 연구는 성, 연령, 가정의 디지털 자원과 어머니-유아의 디지털 공동사용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대전, 대구 지역의 유아 514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부모 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령은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쳐, 연령이 증가할수록 디지털 리터러시(조작적 및 문화적 디지털 리터러시 포함)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정의 디지털 자원이 풍부할수록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반면, 어머니-유아의 디지털 공동사용은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연령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의 발달이 이루어지만, 가정 내 디지털 자원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또한 어머니와 유아가 디지털 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단순한 빈도보다, 상호작용의 질적인 측면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정책 수립 및 부모 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COLLAP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sex, age, home digital resources and mother-child digital co-use o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14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from Seoul, Gyeonggi, Daejeon, and Daegu, using parent-reported questionnaires for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no significant effect of gender was found. Age influences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with higher levels of digital literacy (including operational and cultural digital literacy) observed as age increases. A greater availability of home digital resourc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igital literacy in preschoolers, including both operational and cultural digital literacy. However, mother-child digital co-us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This suggests that digital resources in the home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More importantly, rather than the mere frequency of parent-child joint use of digital device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may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parent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digital liter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성, 연령, 가정의 디지털 자원과 어머니 - 유아의 디지털 공동사용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Research Article
-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문제점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Zero Trust Security Model
-
전정훈
Jeong Hoon Jeon
- 최근 사이버 공격은 개인, 기업, 정부 기관의 내·외부 네트워크를 구분하지 않고 발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가운데 제로 트러스트(ZT:Zero Trust) 보안 모델은 모든 사용자에 …
Recently, cyber attacks tend to occur regardless of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government agencies. Among these, the main …
- 최근 사이버 공격은 개인, 기업, 정부 기관의 내·외부 네트워크를 구분하지 않고 발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가운데 제로 트러스트(ZT:Zero Trust) 보안 모델은 모든 사용자에 대해 재인증 및 지속적인 관리,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내부 비정상적인 접근에 대응하는 것을 주요 원칙으로 하고 있어, 이를 필요로 하는 관련 기관 및 기업들에게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보안 모델과 달리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은 시스템 및 내부 네트워크 보안 강화에 따른 여러 문제들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활성화와 표준화를 위해서는 이에 따른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주요 원칙으로 인한 문제점과 한계점을 웹 자료와 문서를 통해 고찰하고, 국내 제로 트러스트의 상황을 고려한 몇몇 한계점들을 구축 사례를 통해 여러 관점으로 해결 전략을 모색해 봄으로써, 향후 안정적인 구현 및 구축과 표준화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Recently, cyber attacks tend to occur regardless of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government agencies. Among these, the main principle of the Zero Trust security model is to respond to internal abnormal access through re-authentication, continuous management, and constant monitoring for all users, and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to 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at require it. However, unlike other security models, the zero trust security model is expected to face problems due to strengthening system and internal network security, and it is judged that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to activate and standardize the zero trust security model.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caused by the main principles of the zero trust security model through web materials and documents, and explores solutions to several limita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construction case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domestic Zero Trust,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table implementation, construc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future.
-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의 문제점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
-
Research Article
-
한·베 양국의 관계 개선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의 역할과 공공외교의 가능성
The Role of Sports Leaders and the Potential of Public Diplomacy for the Sake of Develo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
음영철
Yeong Cheol Eum
- 본 연구는 한·베 양국의 관계 개선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의 역할과 공공외교의 활용 방안을 분석한 것이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스포츠 지도자는 한·베 체육단체들의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role of sports leaders and the public diplomacy for the sake of developing …
- 본 연구는 한·베 양국의 관계 개선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의 역할과 공공외교의 활용 방안을 분석한 것이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스포츠 지도자는 한·베 체육단체들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선수를 발굴하고, 베트남에 스포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 아울러 스포츠 지도자는 베트남의 한류를 활용하여 한·베 국민들이 교류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예컨대 베트남에서 활동했던 박항서 감독을 중심으로 스포츠 지도자가 염두에 두어야 할 공공외교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는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뛰어난 리더십을 보여주어야 한다. 둘째, 스포츠 지도자는 스포츠를 통해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는 스포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넷째, 스포츠 지도자는 스포츠 한류를 확장시키기 위해 민간 외교관의 소임을 다해야 한다. 다섯째, 스포츠 지도자는 스포츠를 매개로 한 공적개발원조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지도자는 당장의 국익을 우선하기보다는 국제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염두에 두고 베트남에 공적개발원조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 COLLAPS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role of sports leaders and the public diplomacy for the sake of develo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The Korean sports leaders should find athletes through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athlete organizations and set up and ru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breed up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lso, utilizing K-culture in Vietnam, Korean leaders should make a route to interact for the people of two countries. As an example of Park Hangseo the ex-manager of the Vietnamese national soccer team. this study proposes some measures for the Korean sports leaders to keep in mind as below. Firstly, the Korean sports leaders should show excellent leadership to get good results of the team. Secondly, they should contribute to the national integration through the sports. Thirdly, they should cultivate and develop the sports related social infrastructure. Fourthly, they should behave like non-official diplomats for spreading Han-ryu. Fifthly, they should be active in public development assistance through the sports. Lastly, they should be active in Vietnamese public development assistance bearing the international benefits in mind rather than short-sighted interests of the country.
-
한·베 양국의 관계 개선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의 역할과 공공외교의 가능성
-
Research Article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무례행동 피해 사례 유형 탐색 :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Applying Q-methodology to Explore the Types of Workplace Incivility Cases : Focusing on New Employee
-
조희숙, 송영수
Heesouk Cho and Youngsoo Song
- 본 연구에서는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 내 무례행동 피해사례 유형화 진행 및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1단계에서는 Q모집단 구축을 위해 문헌자료, 지필진술, 1:1 심층 …
This study explored the categor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ses of workplace incivility for new employees. In the first, cases were analyzed through …
- 본 연구에서는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 내 무례행동 피해사례 유형화 진행 및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1단계에서는 Q모집단 구축을 위해 문헌자료, 지필진술, 1:1 심층 면담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Q모집단에서 수집한 296개의 진술문을 3차 타당도 검사와 전문가 도움으로 최종 52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P표본으로 총 30명을 선정하였고, 4단계에서는 선정된 P표본에게 Q표본 진술문을 분류하게 하였으며, 이때에는 강한 비동의, 중립, 강한 동의로 진술문을 배치한 뒤, 9점 척도를 적용하여 기록하였다. 5단계에서는 PC-QUANL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 내 무례행동의 피해 사례 유형은 총 4가지로 제 1유형은 ‘공과 사 구분형’, 제 2유형은 ‘교육부재형’, 제 3유형은 ‘감정노동형’, 제 4유형은 ‘월급루팡형’이다. 본 연구는 개인 및 조직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 무례행동의 가해 및 피해를 예방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현실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 COLLAPSE
This study explored the categor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ses of workplace incivility for new employees. In the first, cas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data, paper-delivered statements, and 1:1 in interviews to build the Qpopulation. In the second, 296 statements collected from the Qpopulation were selected with the help of a third validity test and experts, and the final 52 Qsamples were selected. In the third, a total of 30 people were selected as a Psample, and in the fourth, the selected Psample people were asked to classify the Qsample statements, and in this case, the statements were placed with strong disagreement, neutrality, and strong consent, and then recorded by applying a 9-point scale. In the fifth,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C-QUAN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four types of damage cases of workplace incivility, and the first type was derived as 'public and private division type', the second type was 'educational department type', the third type was 'emotional labor type', and the fourth type was 'monthly pay lupin type'.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event the perpetration and damage of workplace incivility,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as a whole.
-
Q방법론을 활용한 조직 내 무례행동 피해 사례 유형 탐색 : 신입사원을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