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기억의 발굴, 재현, 전승을 중심으로 한 망우역사문화공원의 발전 방향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ANG-U Historical & Culture Park with a Focus on the Discovery,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Memory

    강성재, 음영철

    Seong Jae Kang and Yeong Cheol Eum

    본 연구는 망우역사문화공원이 단순한 ‘공원’을 넘어서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을 기리는 ‘기억의 터’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NG-U History & Culture Park as a 'place of memory' that honors Korea's …

    + READ MORE
    본 연구는 망우역사문화공원이 단순한 ‘공원’을 넘어서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을 기리는 ‘기억의 터’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고에서는 기억의 발굴, 재현, 전승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망우역사문화공원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억의 발굴에 해당하는 허연은 망우역사문화공원이 기억의 터로서의 역사적 의미를 알리는 상징적 인물이 될 수 있었다. 기억의 재현에 해당하는 유관순 열사는 뮤지컬, 전시박람회, 사진전, 문예 창작, 학술 세미나와 같은 다양한 활동이 있어야만 기억이 재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기억의 전승에 해당하는 아사카와 다쿠미는 한일교류의 새로운 장을 연 상징적 인물로, 앞으로 민간 차원에서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된다면 한국과 일본이 적대관계가 아닌 친선 관계로 접어들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NG-U History & Culture Park as a 'place of memory' that honors Korea's modern cultural heritage beyond a simple 'park'. To this end, this paper studi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ANG-U Historical & Culture Park, focusing on representative figures corresponding to the discovery,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memories.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Hugh-Yun, who corresponds to the discovery of memory, was able to become a symbolic figure that inform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MANG-U History & Culture Park as a place of memory. Yu Gwan-soon, who corresponds to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saw that memories can only be reproduced if there are various activities such as musicals, exhibitions, photography exhibitions, literary creations, and academic seminars. Takumi Asakawa, which corresponds to the transmission of memories, opened a new chapter in Korea-Japan exchange as a symbolic person, suggesting that Korea and Japan can enter a friendly relationship rather than a hostile relationship in the future if exchanges proceed actively at the private level.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사전 브리핑을 통한 심리적 안전이 간호시뮬레이션 교육만족도와 팀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afety Through Pre-Briefing on Satisfaction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and Team Efficacy

    전혜진, 김희정

    Hyejin Jeon and Heejeong Kim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은 실제 임상 환경과 유사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교육 운영 시 학습자의 심리적 안전을 고려하여 교육만족도와 …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core competencies among nursing students by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 that closely resembles …

    + READ MORE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은 실제 임상 환경과 유사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교육 운영 시 학습자의 심리적 안전을 고려하여 교육만족도와 팀효능감과 같은 학습 효과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사전 브리핑에서 심리적 안전을 고려하는 수준이 교육만족도와 팀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일 지역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심리적 안전, 교육만족도, 팀효능감 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은 사전브리핑 단계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을 경험하였고, 교육만족도 및 팀효능감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심리적 안전은 교육만족도와 팀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 설계 시 학습자의 심리적 안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수자는 구조화된 사전 브리핑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core competencies among nursing students by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 that closely resembles real clinical environments. However, the aspect of learner psychological safety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afety during the pre-briefing phase of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A descriptive survey and correlational study were conducted involving 88 fourth-year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within a single region.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safet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The results indicated that nursing students repor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psychological safety, which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In particular,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sychological safety during the pre-briefing phase of nursing simulation training is closely related to training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learners' psychological safety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hat instructors should actively employ strategies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by providing structured pre-briefings.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 미치는 요인 : 교육 요인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after the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Education related Factors

    김미영

    Miyoung Kim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된 임상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 관련 요인 중심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24년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analyse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within the evolving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post COVID-19 …

    + READ MORE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변화된 임상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 관련 요인 중심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24년 11월 11일부터 12월 10일까지 경기도 소재 간호대학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42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실습만족도(r=.52, p<.001), 임상수행능력(r=.46, p<.001), 전공만족도(r=.52, p<.001)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계분석 결과 간호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공만족도(β=.316, p<.001)와 임상수행능력(β=.288, p<.001)이며 총 설명력은 41.2%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함양을 위해 전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융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analyse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within the evolving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post COVID-19 pandemic, with a particular focus on education related facto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1 to December 10, 2024, targeting 142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software, employing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r = .52, p < .001),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r = .46, p < .001) and satisfaction in major(r = .52, p < .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atisfaction in major(β = .316, p < .001)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β = .288, p < .001), explaining 41.2% of the variance. In conclusion, to cultivate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mes that enhance satisfaction in major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within the evolving clinical environment. Additionally,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tegrating new technologies should be adopted to supplement clinical internships.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환경, 보건 및 안전(EHS)분야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On-the-Job Training(OJT)에 의해 조절된 인적자원 경쟁력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Clan Culture in the Field of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EH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esource Competitiveness Moderated by On-the-Job Training(OJT)

    김혜나

    Hae Na Kim

    본 연구는 EHS 분야의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서 OJT에 의해 조절된 인적자원경쟁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II’의 …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s how clan culture within the EHS domai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

    + READ MORE
    본 연구는 EHS 분야의 관계지향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서 OJT에 의해 조절된 인적자원경쟁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II’의 제7차 근로자 대상 자료를 기반으로 PROCESS MACRO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HS 분야의 관계지향문화와 OJT 참여는 인적자원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적자원 경쟁력은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관계지향문화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는 아니지만 매개 역할을 하는 인적자원 경쟁력을 통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JT는 관계지향문화와 인적자원 경쟁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한편 관계지향문화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인적자원 경쟁력을 통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s how clan culture within the EHS domai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human resources competitiveness moderated by on-the-job training (OJT). The analysis utilizes ‘employee data’ from the 7th wave of Human Capital Corporate Dataset II and employs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Model 7. The results reveal that both clan culture and OJT participation in the EHS field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HR competitiveness, which in turn significantly enhances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lthough clan culture did not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its influence was mediated through HR competitiveness. Additionally, OJT particip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HR competitiveness, and further exhibite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HR competitiveness. The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청소년 온라인 일탈행동에 대한 예방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Preventive Education on Online Devia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한찬희, 강연곤

    Chan-Hee Han and Youn-Gon Ka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 일탈행동에 대한 예방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예방교육 이후의 인식 및 태도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면, 본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education on online devia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Unlik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changes in …

    + READ MOR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 일탈행동에 대한 예방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예방교육 이후의 인식 및 태도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면, 본 연구는 실질적인 행동 변화의 감소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생 3,79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예방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이질성을 통제하기 위해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했고, 표준화 가중치를 추가하여 분석의 대표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예방교육 참여는 온라인 일탈행동의 기대빈도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방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라고 인식하는 학생들은 온라인 일탈행동 기대빈도는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예방교육 참여 여부보다 교육 내용의 질이나 학생의 이해 여부가 실제 일탈행동 변화에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삶의 만족도가 높은 학생과 여학생이 온라인 일탈행동 기대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부모가 없는 환경에 있는 학생의 경우 높은 빈도를 보이는 등 개인 및 환경 요인의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education on online devia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Unlik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changes in awareness and attitudes, this study analyzed actual behavioral changes. Survey data from 3,79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were analyzed using Poisson regression.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was used to control for group differences, and standardized weights ensured representa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preventive education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online deviant behavior. However, students who found the education “helpfu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is suggests that the qua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rather than participation alone, are more closely linked to behavior change.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being a female student were associated with lower rates of online deviant behavior, while students without parental support showed higher rat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버추얼 휴먼의 언캐니 밸리 반응에 대한 지각: 성별과 감성 민감성의 효과

    Perception of the Uncanny Valley Response to Virtual Humans: The Effects of Gender and Empathic Sensitivity

    강지영

    Jiyoung Kang

    본 연구는 성별과 감성 민감성이 버추얼 휴먼에 대한 언캐니 밸리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총 50명의 참가자가 시각적 리얼리즘 수준이 다른 …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nd empathic sensitivity influence users’ uncanny valley responses toward virtual humans. A total of 50 participants evaluated …

    + READ MORE
    본 연구는 성별과 감성 민감성이 버추얼 휴먼에 대한 언캐니 밸리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총 50명의 참가자가 시각적 리얼리즘 수준이 다른 두 종류의 버추얼 휴먼 자극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리얼리즘 아바타는 특히 여성 참가자에게서 더 강한 언캐니 밸리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민감성은 언캐니 밸리 반응 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예측 요인이었으며, 반대로 의인화 성향은 그 반응을 완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별과 리얼리즘 수준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어, 사용자 특성이 버추얼 휴먼에 대한 지각 반응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캐니 밸리 이론을 확장하는 동시에, 성별과 감성적 특성과 같은 개인의 심리 요인이 언캐니 경험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용자 집단에 맞춘 정서 친화적 버추얼 휴먼 디자인 전략 수립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gender and empathic sensitivity influence users’ uncanny valley responses toward virtual humans. A total of 50 participants evaluated two types of virtual human stimuli differing in visual realism. The results showed that high-realism avatars elicited stronger uncanny responses, particularly among female participants. Empathic sensitivity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uncanny response intensity, whereas anthropomorphism tendency appeared to mitigate such reaction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realism level was also observed, suggesting that user characteristics can moderate perceptual responses to virtual humans. These findings exte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uncanny valley by highlighting the critical rol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traits—such as gender and emotional sensitivity—in shaping uncanny experiences. The study off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emotionally adaptive virtual humans tailored to diverse user groups.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노인의 휴양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use of Recreation Forest of Older Adults

    이성은

    Sungeun Lee

    본 연구는 노인의 휴양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사회조사 202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526명을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creation forest use among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2023 …

    + READ MORE
    본 연구는 노인의 휴양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사회조사 2023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526명을 대상으로 휴양림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영향 요인 확인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휴양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 사회적 자원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그리고 소득을 포함한다. 건강 관련 요인에는 보행능력과 인지기능이 포함된다. 사회적 자원 요인은 배우자 유무, 사회적 관계망, 사회활동 참여를 포함한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소득이 노인의 휴양림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요인의 경우 보행능력은 휴양림 이용에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기능은 휴양림 이용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자원 요인의 경우 배우자 유무, 사회적 관계망, 사회활동 참여 모두 노인의 휴양림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휴양림 이용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creation forest use among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2023 Social Survey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was utilized, focusing on 9,526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recreation forest use and employ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variables influencing recreation forest us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factors, and social resource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ed age, gender, education level, region, and income. Health-related factors consisted of walking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Social resource factors encompassed marital status, social network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education level, region, an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creation forest use among the elderly. Regarding health-related factors, walking abilit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while cognitive func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reation forest usage. In terms of social resource factors, marital status, social network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ll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kelihood of using recreation fore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various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greater use of recreation forest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의 관계: 직업의식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diating Role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mong Personal Assistants

    류정림, 백수미

    Jeong Lim Ryu and Su-Mi Baek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의 관계에서 직업의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J도시 장애인센터에 재직 …

    This descriptive surve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persons …

    + READ MORE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의 관계에서 직업의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J도시 장애인센터에 재직 중인 활동지원사 142명 중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을 제외한 124명을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v3.5(Model 4)를 적용하여 부트스트래핑 5,000회를 수행하고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활동지원사의 태도, 직업의식,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업의식과 자아존중감 또한 태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직업의식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고, 직업의식과 자아존중감은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아울러 자아존중감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 관계에서 유의한 간접효과(β=0.12, 95% CI [0.05, 0.21])를 보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이는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안녕과 직업 만족도 향상, 장애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및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descriptive surve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mong personal assistants. A total of 142 personal assistants employed at a disability support center in J City participated, and 124 valid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ayes’ PROCESS Macro v3.5 (Model 4), employing 5,000 bootstrap resample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disability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titudes,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and that both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Disability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both of which exerted direct effects on attitudes. Furthermore,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perception and attitudes (β= 0.12, 95% CI [0.05, 0.21]).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s to enhance disability perception and self-esteem among personal assistants, which may improve their professional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rsons with disabiliti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support services.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중소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unication Compe- tence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on Clinical Competence

    양승희

    Seung- Hee Yang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 및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e ability of nurses in small …

    + READ MORE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반적 특성 및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 직위, 급여, 현 부서 근무경력,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긍정심리자본,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의사소통능력은 임상수행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긍정심리자본과 의사소통능력이 높아지면 임상수행능력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긍정심리자본과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능력이 더욱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7.3% 설명력을 나타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e ability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competence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ligion, position, salary, current department work experience,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munication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ability of the subje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competence abili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greater the Clinical competence abil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e abi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linical competence abil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greater the clinical competence ability, the greater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57.3% explanatory power.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대규모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NN 탐색 블록 기반 선형 인덱스

    A Block-based Linear Index Supporting NN Search for Massive Clients

    임석진

    Seokjin Im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 5G와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은 방대한 수의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에 …

    The convergenc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cloud computing, blockchain, and …

    + READ MORE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 5G와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은 방대한 수의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에 대한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켰다. 특히 IoT 환경에서 무선 데이터 방송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방송 채널에서 최근접 이웃(Nearest Neighbor, NN) 검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블록 기반 선형 인덱스(Block-based Linear Index, BLI)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공간 데이터를 클러스터링을 통해 불규칙한 형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블록 분포 정보를 선형 테이블 구조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NN 탐색 공간을 줄여서 기존의 HCI, DSI, NSPI와 같은 인덱싱 기법에 비해 접근 시간과 튜닝 시간을 단축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BLI는 NN 검색 시간과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켜,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접근이 요구되는 현대 무선 컴퓨팅 환경에 적합한 인덱싱 기법임을 보였다.


    The convergenc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cloud computing, blockchain, and 5G—has created an urgent demand for efficient data delivery mechanisms capable of serving massive numbers of clients simultaneously. Wireless data broadcasting has emerg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such environments, particularly in IoT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based linear index (BLI) to enable efficient nearest neighbor (NN) search in wireless broadcast channels. The proposed method partitions spatial data into irregularly shaped blocks using clustering, and stores block distribution information in a linear table structure. This approach reduces the NN search space, resulting in lower access time and tuning time compared to conventional indexing techniques such as HCI, DSI, and NSPI.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BLI achieves faster NN retrieval and improved energy efficiency, making it suitable for large-scale, real-time data access in modern wireless computing environments.

    - COLLAPSE
    30 September 2025
  • Research Article

    메타버스 마음돌봄 환경이 아동 정서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MetaForest 프로그램 사례연구

    Effect of Metaverse-Based Mindfulness Environments on Children’s Engagement in Psychological Assessments: Case Study of MetaForest Program

    이한진, 김병철, 김동하, 박경훈

    Hanjin Lee, Byungcheol Kim, Dongha Kim, and Kyunghoon Park

    AI 및 디지털 기술의 혁신으로 아동 교육 및 마음돌봄 분야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환경은 높은 현실감과 상호작용성을 …

    Innovations in AI and digital technologies are increasingly being actively utilized in child education and mental health care. In particular, the Metaverse …

    + READ MORE
    AI 및 디지털 기술의 혁신으로 아동 교육 및 마음돌봄 분야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환경은 높은 현실감과 상호작용성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참여를 유도하고 몰입을 강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비대면 가상 플랫폼 메타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 초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마음돌봄 프로그램을 6주 동안 운영했다. 센터, 학부모, 아동 대상 자발적 동의를 획득한 후 참여 관찰, 사후 인터뷰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여 아동의 몰입도, 흥미도,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적 분석에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아동의 몰입과 자발적 참여가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자아 표현 및 자아 인식 변화 측면에서, 아동들은 감정 브로마이드 작성, 불안/우울 척도 검사를 통해 비언어적 방식으로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융합 기반의 심리검사 및 진로교육 도구 개발에 있어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디지털 기반 아동 마음돌봄 서비스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novations in AI and digital technologies are increasingly being actively utilized in child education and mental health care. In particular, the Metaverse environment offers a high level of realism and interactivity, thereby encouragi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enhancing immersion. This study utilized MetaForest, a virtual reality-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platform, to implement a six-week mindfulness program for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a local children's center. After obtaining voluntary consent from the center,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post-test interviews were used to analyze the impact on children's particip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Metaverse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roved children's immers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compared to traditionals. Furthermore, in terms of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self-awareness, children effectively expressed their emotions nonverbally and intuitively through writing emotional bromides and taking anxiety/depression scal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integrated mindfulness and career education tools, and digital-based chil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 COLLAPSE
    30 September 2025